728x90
반응형

'되'와 '돼'의 문법적 사용은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형태의 사용과 구별 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되'의 사용
'되'는 동사 '되다'의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되다'는 주로 '어떤 상태나 결과에 도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 예시 : "잘 되길 바랍니다." (기본형)
- 예시 : "그는 의사가 되었다." (과거형)
'되'에 어미 '-지', '-어', '-었', '-게' 등이 결합될 수 있습니다.
- 예: "공부가 잘 되지 않습니다." ('-지' 결합)
- 예: "기분이 좋아졌어요. 일이 잘 되어서요." ('-어서' 결합)
'돼'의 사용
'돼'는 '되다'의 준말로, '되+어'가 결합된 형태로 '되어'가 축약된 형태입니다. 이 형태는 주로 구어체와 비격식 문어체에서 사용되며, '돼'는 '되어'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예시 : "잘 돼가고 있습니다."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
- 예시 : "그렇게 돼?" (그렇게 되어?)
- 예시 : "그 일이 잘 돼야 할 텐데." (그 일이 잘 되어야 할 텐데.)
728x90
문법적 구별 방법
'되'와 '돼'를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문장 속에서 '되어'로 바꾸어 보는 것입니다. 만약'되어'로 바꾸었을 때 문장이 자연스럽다면 '돼'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되'를 사용합니다.
- "잘 되길 바랍니다." (O)
- "잘 돼길 바랍니다." (X) : 잘 되어길 바랍니다. (어색함) - '되' 사용
- "잘 돼가고 있습니다." (O)
- "잘 되가고 있습니다." (X) :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자연스러움) - '돼' 사용
이렇게 하면 '되'와 '돼'를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시사 > 정보 보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사소송 이해하기(흐름과 절차) (2) | 2024.12.21 |
---|---|
지하철 파업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1) | 2024.12.11 |
글로벌 증시 폭락과 삼성전자 주가 (7) | 2024.08.05 |
신종 사기 보이스피싱 카드발급 사칭 주의하세요 (0) | 2024.07.30 |
담보제공명령, 공탁하라는 명령이 나올 때 공탁보증보험을 이용하기 (0) | 202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