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업무태만 2

경찰 수사관의 어이없는 불송치 결정과 이의신청의 필요성

최근 범죄 피해를 입고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개월 후 또는 수십 개월 후 경찰로부터 불송치 통지서를 받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불송치란 경찰이 수사한 사건에서 범죄 혐의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종결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 제도는 2021년 검경 수사권 조정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경찰이 독자적으로 수사를 종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것입니다. 하지만 권한은 경찰이 가져갔음에도, 피해를 입는 것은 정작 세금을 납부하는 국민이라는 점에서 형사사법 시스템의 본질적 문제가 드러나고 있습니다.불송치 이유의 부실성과 수사관의 전문성 문제불송치 결정서에는 경찰이 내린 불송치 이유가 간략하게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

법률/형사 2024.12.04

고소장 제출했지만, 수사를 하지 않는 대한민국 경찰 수사관, 대단하다!

검수완박은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의 줄임말로, 검찰의 수사권을 완전히 박탈한다는 의미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검찰이 기소권과 수사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을 시절에 권력의 집중으로 인한 남용 가능성을 높인다는 비판을 받아, 경찰에게 수사권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졌습니다. 즉, 검찰개혁으로 검사의 수사지휘권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검찰개혁 이후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검찰개혁으로 이제 슬슬 국민들이 피해를 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고소장을 제출 후 고소인은 아무것도 알 수 없는 문제이번 포스팅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대다수가 고소장을 제출했지만, 자신의 사건의 담당수사관이 누군지 어디 소속인지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것입니다. 경찰서로부터 문자를 받았거나, 고소장을 제출한 고소인조사..

법률/형사 2024.06.19
728x90
반응형